갤러그 (GALAGA, 1981, NAMCO) 추억의 오락실

갤러그 (GALAGA, 1981.9, NAMCO)


갤럭시안의 속편. 갤럭시안 자체가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계보를 이어 발전시킨 게임이었는데, 이 갤러그는 그 갤럭시안을 다시 한번 발전시킨 형태의 게임이다.

원제는 '갤러가(GALAGA, ギャラガ)'지만 당시 한국의 오락실은 모두 불법복제기판을 썼기 때문에 갤러거의 해적판인 '갤러그(GALAG)'가 일반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덕분에 한국에선 전부 불법복제판 이름이었던 '갤러그'로 통한다.


타이틀 화면.

뉴랠리X 이후에 생긴 다중보너스.

게임을 시작할 때 이 화면에서 나오는 음악 역시
잊을 수 없는 곡이다. 갤러그 하면 역시 이 곡.

갤러그가 갤럭시안과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적들이
처음부터 대열을 지어 모여있는 것이 아니라,
몇마리씩 모여 편대비행을 하며 공격을 해온 뒤 되돌아가서
대열을 짓는다는 것. 덕분에 등장이 화려하다.

적들만 화려해진 것이 아니라, 갤러그의 플레이어 전투기 역시 파워업.
무려 연사가 가능해졌다! 갤럭시안의 플레이어는 총알을 한발씩 밖에
쓰질 못해서 한발 쏜 총알이 사라질 때까진 다음 총알이 나가질 않았다.
그러나 갤러그는 버튼을 연타하면 연사가 되어 통쾌한 슈팅게임의
진미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손가락이 빠를수록 더 빨리
많은 적을 해치울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갤러그 하면 역시 이것! 보스갤러거가 쏘는
광선에 맞으면 플레이어가 적진에 잡혀간다는 것!

잡힌 플레이어는 빨간색이 되며 적진에 끌려간다.
목숨수가 하나 줄어들며 이어서 시작된다.

이렇게 이어서 시작되는데 남은 목숨이 없다면 게임오버다.
하지만 잘만 하면 파워업의 기회. 갤러그의 기본은
일단 플레이어 전투기 하나를 적에게 일부러 내주는 것부터.

아군을 잡아간 보스가 공격해올 때 해치우면 아군 전투기가 회전하며
다시 플레이어를 향해 되돌아오게 된다. 적이 회전할 때 
총알 잘못 쏘면 아군전투기를 격추시켜버리는 불상사도 생길 수 있다.
또한 보스가 대열중에 있을 때 해치우면 아군 전투기는
되돌아오지 않고 빨간색인 상태로 적기체로써 움직이니
반드시 보스가 공격해올 때를  노려야 한다.

그러면 이렇게 구출한 전투기와 현재 사용중인 전투기가 합체하며
더블공격이 가능해진다는 것. 무기파워업이 없는 갤러그에서
유일하게 파워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아군 전투기 파워업'이라는
형태로 슈팅게임 역사에서 큰 영향을 미친 전설적인 시스템이다.

갤러그의 즐거운 점은 이 '챌린지 스테이지'.
보너스 스테이지로 적들이 연속으로 줄지어 나오는데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므로
모조리 쏴 없애는데 주력할 수 있다.
고득점으로 보너스를 얻기에 좋다. 2스테이지 이후에 나와
3스테이지마다 한번씩 등장한다.

보너스 스테이지에서 퍼펙트를 했을 때의 쾌감!!

적은 기본적으로 노란색의 벌, 빨간색의 나비, 초록색의 딱정벌레 모양이지만
종종 한마리가 3마리의 다른 모양 적기로 분열해서 공격해오기도 한다.
녹색의 괴전투기 3마리로 분열한 모습.

전갈모양 3마리로 분열하기도 한다.

노란색의 가오리 3마리로 분열하기도 한다.

보너스 스테이지(11)에서 잠자리 모양 편대도 볼 수 있다. 
보너스 스테이지에는 종종 희귀한 적들도 출연한다.

보너스 스테이지(19)에서 볼 수 있는 꽃모양 적들.

평상시엔 벌이나 나비가 3마리씩 분열할 때만 볼 수 있는 녀석들도,
보너스 스테이지에서는 대량으로 편대를 지어 날아오기도 한다.

보너스 스테이지(31)에서 볼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무려 '스타트랙'에 등장하는 그 엔터프라이즈호다.



스페이스 인베이더에서 갤럭시안으로, 그리고 거기서 다시 이 갤러그(갤러거)로. 게임 역사에서 슈팅게임의 초창기를 장식한 명작 게임이다. 적들의 현란한 편대 비행, 버튼 연타에 의해 연사 가능한 총알, 적기에 의한 아군 포로화, 포로 구출시 합체하여 더블 공격 등 당시 게임업계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던 참신하고 재미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대성공한 게임이다.

한국에서도 엄청난 인기를 끌어 80년대 초반 동네마다 오락실이 생기게 만드는 원흉이 되기도 했다. 하나의 오락실에 한두개 빼곤 모든 게임기가 갤러그로만 차있기도 했다. 1991년 스트리트파이터2 붐이 일기 이전까진 갤러그만큼 엄청난 인기를 끄는 게임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엇보다 진입장벽이 낮은 쉬운 게임이었기 때문에 1980년대 초반,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광경을 쉽게 볼 수 있었다. 특유의 '뿅뿅'하는 총알소리 때문에 오락실 하면 '뿅뿅'으로 통할 정도였고, '게임'하면 '갤러그'를 지칭할 정도로 한국에서 엄청난 인기와 인지도를 지녔었다.

스페이스 인베이더와 벽돌깨기 등 흑백 게임의 시대를 벗어나기 시작하며, 갤러그나 엑스리온, 너구리 등이 80년대 극초반 오락실을 장식했고 그중에서도 특히 갤러그는 명실공히 오락실의 대표 게임이었다. 한국에선 최고의 히트게임이었기 때문에 90년대까지도 오락실에서 꼬박 볼 수 있었던 최장수 인기게임이었다. 오락실 하면 '뿅뿅'이란 개념을 탄생시킨 전설의 게임이다. 시스템 자체를 워낙 잘 만들어서 지금해봐도 꽤 재미있다.

스테이지는 255판까지 있고 그 이상 클리어하면 리셋된다던데...20판 넘기는 것도 사실 힘들다. 그런데도 80년대 극초반에는 50원 넣고 하루종일 갤러그를 하는 사람이 허다했다. 그 시절 하루종일 죽지 않고 끝없이 갤러그를 하던 아저씨, 누나들은 지금 전부 할아버지, 좀 나이많은 아줌마가 되어있을텐데. 그 때 그 오락실을 기억할까?

핑백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엑스리온 (EXERION, 1983, JALECO/TAITO) 2012-07-03 02:57:55 #

    ... 급장이다. 1980년대 초반, 갤러그</a>와 함께 많은 인기를 누렸던 슈팅게임. 당시 오락실의 게임기 대부분이 갤러그였다면, 이 엑스리온은 1~3개 정도의 비율로 놓여있었고 너구리와 함께 최소 1개씩은 꼬박 있었다. <a href="http://netyhobby.egloos.com/5652450">갤러그, 팩맨, 너구리, 방구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너구리 (PONPOKO, 1982, SIGMA) 2012-07-03 03:08:36 #

    ... 갤러그</a>, 팩맨, 방구차, 엑스리온과 함께 한국의 80년대 초중반 오락실을 대표하는 5대 게임 중 하나. 적을 공격할 방법 없이 무조건 도망만 다녀야하고 시간은 계속 줄어들고...단순하지만 꽤 어려운 게임이다. 약간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데 옛날엔 마지막 스테이지인 맥주판까지 가는 사람이 수두룩했다. 당시엔 못하다가 뒤늦게 해봤지만 지금해도 어려운 게임. 옛날엔 오락실용 게임이란 것이 종류가 몇개 없던 만큼 고수도 그만큼 수두룩했던 것 같다.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AC] 지금까지 리뷰 및 공략을 했던 오락실 게임 2012-07-19 00:28:33 #

    ... [AC] 지금까지 리뷰 및 공략을 했던 오락실(아케이드) 게임 갤럭시안 (Galaxian, 1979, NAMCO) 갤러그 (GALAGA, 1981, NAMCO) 곤베의 아임쏘리 (I'm Sorry, 1985, SEGA/CORELAND) - 국내명: 이주일 그라디우스 (G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MSX] 갤러그 (Galaxian, 1984, NAMCOT) 2012-08-08 20:15:36 #

    ... 벽하게 재현해낸 것이 놀랍다. 덕분에 재믹스 시절 재밌게 즐길 수 있었던 슈팅게임이다. [MSX] 갤럭시안 (Galaxian, 1984, NAMCOT) 갤러그 (GALAGA, 1981, NAMCO)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제비우스 (XEVIOUS, 1983, NAMCO) 2013-01-03 02:22:02 #

    ... (GALAGA, 1981, NAMCO)</a>'를 통해 오락실 대표 슈팅게임의 계보를 이어나가던 남코에서 발매한 획기적인 슈팅게임. 타이토사의 '스페이스 인베이더(Space Invaders, 1978, TAITO)' 다음으로 많이 팔린 슈팅게임이라고 한다. 고정 화면 내에서 움직이던 종래 슈팅게임의 틀을 벗어나 '종스크롤'을 구현,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슈팅게임이 취하는 '종스크롤 슈팅게임'의 기본을 구축했다. 주인공 전투기 '솔바루우'는 공중의 적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스페랑카 II 23의 열쇠 (Spelunker II, 1986, IREM) #1 게임소개~스테이지1 2013-10-03 01:03:41 #

    ... 며 파고들어가서 산소통을 먹자. 얼음 오른쪽에 보이는 약병을 먹으면 바로 위에 올라가는 길이 열리게 된다. 아래쪽에 벌레집 같은 곳에서 튀어나오는 벌레편대에는 주의. 갤러그가 떠오른다. 올라오면 3번째 문이 보이는데, 아까 먹은 3번째 열쇠로 열면 곧바로 수중 지역. 일단 물에 뛰어들면 약병을 먹어 에너지를 보충하며 오른쪽 끝까지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엑제드 엑제스 (EXED EXES, 1985, CAPCOM) #2 라운드8~16 2013-11-12 12:11:46 #

    ... 은 점에서 당시 슈팅게임을 압도하는 다양한 시도가 보인다. 1985년작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게임들을 웃도는 고퀄리티의 그래픽과 중독적인 BGM, 남코의 '갤러거(갤러그)'에서 시작했다고는 해도 곤충을 모티브로 한 독특하고 다양한 종류의 적들과, 적마다 각기 다른 다양한 형태의 움직임을 구현한 복잡한 알고리즘, 당시 ... more

  •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영화 '픽셀(Pixel, 2015)'에 나온 게임 총정리 2015-07-20 16:45:26 #

    ... 고 빛을 뿜어 납치하는 과정이나, 해치운 뒤 아군을 돌려받는 영화 속의 과정 또한 게임과 동일하다. 이 게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기존 포스팅 '갤러그 (GALAGA, 1981, NAMCO)' 참조. 11. 플로거 (Frogger, 1981, Konami)코나미에서 만든 길건너기 게임으로, 국내에서 '개구리'라는 이름으로 초창기의 ... more

덧글

  • 2012/06/29 01:54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플로렌스 2012/06/29 09:02 #

    당시 그런 엄청난 사람들이 참 많았지요; 할 수 있는게 적었던 만큼 더욱 더...
  • 코코노에 2012/06/29 02:06 #

    실재 아주 어릴때 오락실에서 100판 깨면 주인이 끄던거 기억이 납니다.
  • 플로렌스 2012/06/29 09:03 #

    추억의 광경이지요.
  • 틸더마크 2012/06/29 02:39 #

    이 게임 덕에 전국에 수많은 '뿅뿅오락실'의 상호가 생겨났지 싶습니다. 저희 동네에도 하나 있었어요. ㅎㅎ
    그러고보니 하루종일 죽지 않고 끝없이 갤러그를 하시던 형님(...) 중 한분이 손석희 교수라는 얘기가 있지요.
    취업준비생 시절에 150만점 찍으셨다는 전설이...=ㅅ=;
  • 플로렌스 2012/06/29 09:03 #

    아...손석희 교수님...
  • 오리지날U 2012/06/29 04:30 #

    오- 정말 오랜만에 보는 게임이군요 !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부터 혼자 오락실을 들락거렸기 때문에
    아직도 당시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지요.. 합체 했다가 한 대 터졌을 때의 그 허망함이란.

    헌데.. [스파2 전까지 갤러그만한 게임은 없었다]는 부분은 좀 동의하기 힘드네요..
    그 전에도 충분히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동전을 쌓아놓고 줄서서 했던 인기작은 여럿 있습니다.
    예를 들면 <버블버블>이라든가, <더블 드래곤>이라든가, <원더보이 인 몬스터랜드>라든가.. 많죠.
    이 게임들은 새치기 하지 말라고 줄 선 애들끼리 주먹다짐도 하고 그랬던 게임들입니다ㅎㅎ
  • 플로렌스 2012/06/29 09:06 #

    동전 쌓고 줄서서 하는 레벨이 아니라 한개 오락실 전체의 게임기가 전부 똑같은 게임으로 채워졌던건 갤러그와 스파2 뿐이었거든요. 거의 특정게임 전문오락실 레벨이었지요.
  • 오리지날U 2012/06/30 09:30 #

    그런 기준이었습니까 ! ㅎㅎ

    음, 근데.. 저도 오락실 연대기라면 나름 안다고 자부하지만 아무리 기억을 더듬어 봐도
    말씀하신 것처럼 업소 전체가 갤러그나 스파2로 채워졌던 건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ㅅ=a
    놀던 동네가 달라서 그런가; 가장 뜨거운 상권인 '학교 주변'에서조차 그런 일은 없었는데..
    설사 제가 모른다 쳐도 그걸로만 인기의 척도를 단정 짓기엔 좀 무리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동전을 쌓아놓고 줄을 서는] 궁극적인 이유도 결국은 자리가 모자라기 때문이니까요.
  • 플로렌스 2012/06/30 12:52 #

    일단 1981~1984년 경의 한국 오락실은 어딜 가도 대부분의 게임은 갤러그였고, 너구리 1대, 엑스리온 1~2대, 벽돌깨기 한대, 기타 하나로 구성된 곳이 많았지요. 1991~1992년경엔 신촌, 홍대, 이대 일대의 오락실이 게임기가 10대면 8대를 스파2로 해놓았던 기억이 납니다.
  • 아돌군 2012/06/30 19:20 #

    오락실 전체의 게임기가 똑같은 게임으로 채워졌던 적이 또한번 있었지요..

    DDR....
  • 플로렌스 2012/07/01 00:21 #

    그러고보니 DDR이 늘어나다가 펌프 생기고 나중엔 결국 펌프만 있는 펌프장이란 곳까지 생겼으니;
  • OmegaSDM 2012/06/29 07:47 #

    것 참 좋은 게임이죠. 아 본인은 끈기가 없어서 몇 스테이지만 하고 꺼버리는…………
  • 플로렌스 2012/06/29 09:07 #

    근성부족!
  • 알트아이젠 2012/06/29 08:08 #

    최대한 많이 합체하려고 만용을 부렸다가, 죄없는 비행기만 작살낸 기억이 납니다.(...)
  • 플로렌스 2012/06/29 09:08 #

    합체하려다 죽는 일 많았지요.
  • 짜오지염황 2012/06/29 09:00 #

    분명 제목이 갤러거인데 갤러그로 제목이 잘못 알려진 이유는 여기서 처음 알았습니다.

    어쩐지 갤럭시안이랑 게임 분위기가 비슷하더니 이게 정식 속편이었었군요. 이것도 몰랐었는데.
  • 플로렌스 2012/06/29 09:09 #

    사실 다음작도 있었지만 이 초대 갤러그만큼 인기를 끈 작품은 없었지요.
  • Gman 2012/06/29 09:25 #

    합체해!!! 합체하라고!!! 합체!!!! 으아아아아!!!

    합체 한번에 울고웃던 그시절 ㅠㅠ
  • 플로렌스 2012/06/29 09:43 #

    초반엔 괜찮은데 후반엔 합체하자마자 폭파당하기 일쑤...
  • JOSH 2012/06/29 09:38 #

    모든 탄막게임들의 할아버지~!!
  • 플로렌스 2012/06/29 09:45 #

    슈팅게임의 정도를 구축한 게임이었지요. 탄막슈팅의 시작은 돈파치!
  • 슈3花 2012/06/29 10:28 #

    합체하고 나면 괜히 어깨에 힘 들어가던 게임!!ㅎ 반갑네요, 포스팅 고맙습니다!
  • 플로렌스 2012/06/29 10:30 #

    많은 부분에서 희열을 느끼게 해주던 훌륭한 게임이지요.
  • 타츠란 2012/06/29 11:16 #

    아수라장 만화가 생각나지 말입니다....교훈, 남자끼리 박지맙시다..??
  • 플로렌스 2012/06/29 11:32 #

    옛날 그 게임 만화...!?
  • 타츠란 2012/06/29 11:58 #

    그렇사옵니다.
  • 블랙 2012/06/30 09:39 #

    릿지 레이서의 갤럭시안 미니게임에 이어 철권1에서는 갤러그가 미니 게임으로 들어갔죠. 개나소나(?) 퍼펙트 클리어 할수 있었던 릿지 레이서의 갤럭시안에 비해 철권1의 갤러그는 패턴을 외우고 해도 퍼펙트는 커녕 클리어 하기 조차 힘든 고난이도. (퍼펙트 클리어하면 데빌 카즈야 복장이 선택 가능한 특전이...)

    http://www.youtube.com/watch?v=iWl51BtsPmE
  • 플로렌스 2012/06/30 12:54 #

    그렇게 어려웠습니까;; 전 철권을 안해서 못해봤군요;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Twitter

위드블로그 베스트 리뷰어

2011 이글루스 TOP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