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뽀빠이 (POPEYE, 1983, Nintendo) 패밀리 컴퓨터

뽀빠이 (POPEYE, 1983.7.15, Nintendo)

1983년 7월 15일, 닌텐도에서 개발한 세계 최고의 인기 8비트 게임기 '패밀리컴퓨터(통칭 패미콤)'와 동시 발매된 게임. 1982년에 닌텐도에서 아케이드(오락실)용으로 발매하여 많은 인기를 누린 '뽀빠이'의 가정용 이식판이다. 돈키콩, 돈키콩 쥬니어와 함께 동시 발매되었는데 애초에 돈키콩이 뽀빠이 게임으로 개발된 게임이었고, 닌텐도의 뽀빠이에 대한 집착을 보면 최초의 패미콤 게임에 걸맞는 타이틀이라 할 수 있겠다.


타이틀 화면. 1플레이어A/B, 2플레이어 A/B로 4가지.
B는 난이도가 높은 버전이다.

스테이지1. 부르터스의 하트가 깨지거나 뽀빠이가 꽃을 들고
올리브가 뽀빠이를 향해 하트를 그리는 오프닝은 생략되었다.

게임 자체는 오락실용과 같지만 색상과 해상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돈키콩 시리즈는 원작과 별차이 없는 것에 비해 뽀빠이는 비교되는 편.
원작 자체가 캐릭터의 세세한 얼굴 표정 변화까지 재현한
엄청난 작품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패미콤으로 재현은 무리긴 하지만...
근데 브루터스의 저 윗칸 어퍼컷 공격은 수퍼마리오의 원조!?

시금치를 먹은 뽀빠이의 대반격!
근데 원작과 달리 마녀는 나오지 않는다.

펀치볼을 쳐서 브루터스 머리 위에 통을 떨어뜨려
일정시간 꼼짝못하게 하는 것도 원작 그대로 충실히 재현.
문제는 원작에선 그냥 오른쪽 위에서 펀치볼을 칠 수 있었는데
패미콤판에선 손이 닿질 않는다. 오른쪽 윗칸에서 펀치볼을 향해
걸어가다가 떨어지며 주먹을 눌러야만 펀치볼을 칠 수 있다.
프로그래밍 할 때 간격 조절을 잘못해서 생긴 근본적인 문제다.

어쨌거나 스테이지1 클리어.

스테이지2도 충실히 원작을 재현했다.

시소를 타고 스위피에게 올라가면 보너스 점수를 받는 것은 그대로.
문제는 시소 반대편에 있어야할 윔피의 그래픽이 생략되어
아무것도 없이 시소를 타는 꼴이 되어버렸다.

어쨌거나 스테이지2 클리어.

올리브를 납치해서 배 꼭대기로 가는 버나드.

기본은 원작과 동일하다. 올리브가 발사하는 알파벳을 모아야 한다.

전부 모으면 사다리가 위에까지 생기며 게임 클리어!!

문제는 원작에선 이제 뽀빠이가 완성된 사다리를 타고 
꼭대기에 올라가 올리브를 구한 뒤 화면에 커다랗게
뽀빠이 얼굴 그래픽이 나오는 연출이 있었는데...
이것이 모조리 생략되어버렸다. 그리고 다시 스테이지1부터.

2주차의 스테이지1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우상단에서
마녀가 해골을 던진다. 이후 스테이지 역시 마찬가지.


원작 자체가 1982년도산 게임 치고는 그래픽이 너무나 고퀄리티였는데, 그정도까지는 바라지 않아도 원작의 요소는 어느정도까진 재현해줬으면 좋았으련만. 순수히 게임 자체의 느낌만 적당히 재현한 정도인 것이 고작이다. 패미콤도 용량만 늘이면 뽀빠이 정도는 충분히 재현할 수 있었지만 초창기 패밀리 컴퓨터 게임은 용량 자체가 굉장히 낮았고, 패미콤과 동시 발매를 하기 위해 좀 적당히 만든 것 같은 느낌이다. 여러모로 아쉬운 게임.


핑백

덧글

  • 알트아이젠 2012/07/18 21:20 #

    어렸을때 매번 배에서 막힌 기억이 나네요. 그래도 오락실에서 하지 않았으니 나름 재미있게 했습니다.
  • 플로렌스 2012/07/19 00:17 #

    저는 오락실에서 나름 재밌게 했었지요. 그게 벌써 몇십년전이라니...
  • OmegaSDM 2012/07/18 21:41 #

    마녀가 생략되어 있었다니 원래 없던 거 아니었어요?
  • 플로렌스 2012/07/19 00:17 #

    전에 포스팅했었는데...원작에선 옆에서 나와 병 던집니다.
  • RUBINISM 2012/07/19 23:22 #

    처음에 저걸 했을 때 뽀빠이가 펀치를 날리는 게 일반 공격인 줄 알았는데 시금치를 알고서야 감을 잡을 수 있었지요.
  • 플로렌스 2012/07/20 09:29 #

    시금치를 안먹은 뽀빠이는 브루터스에게 절대 이길 수 없지요. 브루터스 자체가 워낙 기본 스테더스가 강력한 놈이다보니...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Twitter

위드블로그 베스트 리뷰어

2011 이글루스 TOP 100